맨위로가기

영풍군 (경상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풍군은 과거 경상북도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다. 삼국 시대에는 신라에 속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내령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강주로 불리다가 길주에 편입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영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 영천군, 풍기군, 순흥군이 통합되어 영주군이 되었으며, 1980년 영주읍이 영주시로 승격되면서 남은 지역은 영풍군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영주시와 영풍군이 통합되어 영주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주시의 역사 - 순흥군
    순흥군은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되어 신라, 고려, 조선, 대한제국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행정구역이 여러 번 변경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영주군과 봉화군에 편입된 경상북도의 옛 군이다.
  • 영주시의 역사 - 풍기군
    풍기군은 고려 시대 기천현과 은풍현을 합쳐 설치된 조선 시대 경상북도의 군으로, 문종 태실을 계기로 승격되었으나 일제 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주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으며 현재 영주시와 예천군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김산군
    김산군은 신라시대 풍무현에서 유래하여 조선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김천군에 통합되어 김천시 행정구역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비안군
    비안군은 상고 시대 소문국에 속했다가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과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의성군과 예천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양주군
    양주군은 1895년부터 2003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1963년 의정부읍의 시 승격, 1980년 남양주군 분리, 1981년 동두천읍의 시 승격 이후 2003년 양주시 승격으로 폐지되었다.
영풍군 (경상북도)
기본 정보
경상북도 영풍군의 위치
경상북도 영풍군의 위치
국가대한민국
경상북도
면적289.93km²
역사
읍·면1읍 5면
설치1914년
폐지1986년
현재영주시
행정
군청 소재지영풍면 영주시

2. 역사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까지 영풍군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1914년 영천군, 풍기군, 순흥군(화천면, 수식면, 수민단면 제외)을 영주군(榮州郡)으로 통폐합하면서, 세 군의 중심이었던 '영천' 대신, 같은 경상북도 내의 영천군(永川郡)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영주'라는 명칭을 사용했다.[3]

1914년 당시 영주군의 행정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영천군 봉향면, 망궐면, 가흥면영주면
영천군 두전면, 호문면장수면
영천군 적포면, 권선면문수면
영천군 천상면, 진혈면평은면
영천군 산이면, 어화면, 말암면이산면
풍기군 동부면, 서부면, 창락면풍기면
풍기군 동촌면, 생현면, 용산면안정면
풍기군 와룡면, 노좌면봉현면
풍기군 상리면, 하리면(변동 없음)
순흥군 대평면, 내죽면순흥면
순흥군 동원면단산면
순흥군 봉양면, 용암면, 도강면부석면


2. 1. 고대 ~ 조선 시대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영향 아래에 있다가 신라에 편입되었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내령군(奈靈郡)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상주에서 관할하였으며, 안동시 예안면·도산면 일대에 있었던 선곡현(善谷縣)과 현재의 봉화군 일대에 있었던 옥마현(玉馬縣) 2개 현을 영현으로 두었다. 고려 시대에는 강주(剛州)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018년에 길주(吉州, 현재의 안동시)에 편입되었다. 1143년에 순안현(順安縣)으로 고쳐서 현령을 두었고, 1413년에 영천군(榮川郡)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

1413년 조선 경상도 영천군(榮川郡)이 되었다. 1457년 순흥도호부가 폐지되면서 그 일부를 편입하였다. 1687년 순흥도호부가 다시 설치되면서 편입했던 지역 일부를 돌려주었다.

2. 2. 일제강점기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 1973년 7월 1일 봉화군 상운면 내림리, 두월리를 이산면에 편입하고[6], 풍기면을 풍기읍으로 승격하였다.[7] (2읍 9면)
  • 1980년 4월 1일 영주읍 일원 및 이산면 조암리, 원리 일부, 문수면 적서리, 안정면 아지동을 영주시로 승격하고, 영주군을 '''영풍군'''으로 개칭하였다.[8] (1읍 9면)
  • 1983년 2월 15일 이산면 원리 일부를 영주시에 편입하고, 평은면 수도리를 문수면에, 안정면 파지동을 장수면에 편입하였다.
  • 1995년 1월 1일 영주시 일원과 영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영주시가 설치되었다.[9]

3. 행정 구역 변천사

고려 초 상주의 관할 하에 내령군(奈靈郡)으로 불렸으며, 안동시 예안면·도산면 일대의 선곡현(善谷縣)과 봉화군 일대의 옥마현(玉馬縣)을 영현으로 두었다. 고려 때 강주(剛州)로 개칭하였다가 1018년에 길주(吉州, 현재의 안동시)에 편입되었다. 1143년에 순안현(順安縣)으로 개칭하여 현령을 두었고, 1413년에 영천군(榮川郡)으로 개칭하였다.

3. 1. 1914년 영주군 설치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영천군, 풍기군, 순흥군(화천면, 수식면, 수민단면 제외)을 '''영주군'''(榮州郡)으로 통폐합하였다.[3] 세 군의 중심이었던 '영천'을 통합 군명으로 사용하지 않고, 경상북도영천군(永川郡)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영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14년 당시 영주군은 13면으로 구성되었다. 각 면의 세부적인 행정 구역 변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령 제2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영천군봉향면(奉香面), 망궐면(望闕面), 가흥면(可興面)영주면 일원
두전면(豆田面), 호문면(好文面)장수면 일원
적포면(赤布面), 권선면(勸善面)문수면 일원
천상면(川上面), 진혈면(辰穴面)평은면 일원
산이면(山伊面), 어화면(於火面), 말암면(末岩面)이산면 일원
풍기군동부면(東部面), 서부면(西部面), 창락면(昌樂面)풍기면 일원
동촌면(東村面), 생현면(生峴面), 용산면(龍山面)안정면 일원
와룡면(臥龍面), 노좌면(魯佐面)봉현면 일원
상리면, 하리면(변동 없음)
순흥군대평면(大平面), 내죽면(內竹面)순흥면 일원
동원면(東元面)단산면 일부
봉양면(鳳陽面), 용암면(龍岩面), 도강면(道講面)부석면 일원



1914년의 행정구역[4]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영천군 봉향면(奉香面) 하망동 일부/성저동 일부/(망궐면)노상동, 휴천동, 상망동, 하망동 일부/성저동 일부영주면 영주리, 휴천리, 상망리, 하망리
영천군 망궐면(望闕面) 고천동/상현동, 창보동/삼진동, 조와동영주면 고현리, 창진리, 조와리
영천군 가흥면(可興面) 하줄동/대사동, 상초동/하초동, 상줄동 일부/(풍기군 생현면)내줄동 일부영주면 가흥리, 문정리, 상줄리
영천군 산이면(山伊面) 상구동 일부/하구동이산면 원리
영천군 말암면(末岩面) 반포동/흑석동, 본리/신천리, 지동이산면 석포리, 신암리, 지동리
영천군 어화면(於火面) 조암동/(산이면)상구동 일부/초곡동, 상소동/하소동, 굴천동 일부/(천상면)본리 일부, 조문동 일부/굴천동 일부/세답동이산면 조암리, 용상리, 신천리, 운문리
영천군 호문면(好文面) 소룡동 일부, 웅곡동 일부/화기동 일부/소룡동 일부, 화기동 일부장수면 소룡리, 호문리, 화기리
영천군 두전면(豆田面) 갈산동/파지동/반구동 일부, 본리/하두동, 반구동 일부/(호문면)웅곡동 일부/덕암동, 지동/성곡동장수면 갈산리, 두전리, 반구리, 성곡리
영천군 적포면(赤布面) 자만동/신방동/(어화면)조문동 일부, 승평동 일부/석문동, 승평동 일부/(권선면)월호동 일부, 적서동 일부/(권선면)본리 일부, 적동리/적서동 일부/(권선면)월호동 일부문수면 만방리, 승문리, 월호리, 적서리, 적동리
영천군 권선면(勸善面) 본리 일부, 벌사리문수면 권선리, 벌사리
영천군 진혈면(辰穴面) 조제동 일부/미곡동, 탄산리, 금광동, 수도리, 용혈동/신동평은면 조제리, 탄산리
영천군 천상면(川上面) 강성동/동막리/금계리/(안동군 북후면)두산동 일부, 하운동/삼거리/오동리/오천동 일부/(예안군 북면)원천동 일부/사천동 일부/(서면)녹래동 일부, 서당동/마전동/(안동군 북후면)옹천리 일부/(안동군 북선면)거인동 일부, 말천동/망월동/오천동 일부/본리 일부, 평은리평은면 강동리, 오운리, 지곡리, 천본리, 평은리



통폐합 결과 영주군은 영주면, 장수면, 문수면, 평은면, 이산면, 풍기면, 안정면, 봉현면, 상리면, 하리면, 단산면, 순흥면, 부석면의 13면으로 구성되었다.

3. 2. 1980년 영주시 승격

1980년 4월 1일 영주읍, 이산면 조암리·원리 일부, 문수면 적서리, 안정면 아지동을 통합하여 영주시로 승격하고, 영주군을 '''영풍군'''으로 개칭하였다.[8]

3. 3. 1995년 도농복합시 설치

1995년 1월 1일 영주시 일원영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영주시가 설치되었다.[9]

참조

[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39호 1912-12-06
[2] 법령 도령 제3호 1912-12-12
[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6]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7] 법령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8] 법률 법률 제3188호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79-12-28
[9]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